재미있게 읽었다!!
침묵하지 말고, <벌거벗은 임금님>을 향해 벌거벗었다고 말할 수 있는 사람이 되자.
집단 착각 : 인간 본능이 빚어낸 집단사고의 오류와 광기에 대하여

집단 착각이란 한 마디로 사회적 거짓말이다. 어떤 집단의 구성원 중 다수가 특정한 의견을 거부하고 있다고 해보자. 그런 판단을 내리는 이유는 대부분의 사람들이 거부하고 있을 것이라고(부정확하게) 넘겨짚기 때문이다. 이러한 경우가 바로 집단 착각이다. 이렇게 사람들이 다들 원한다고 착각하는 답을 따르기만 할 경우, 결국 모든 이가 아무도 원치 않는 방향으로 향할 수도 있다. 집단 착각이 만들어내는 흑마술인 셈이다.
집단 착각의 가장 유명한 사례로는 안데르센이 1837년 발표한 동화 《벌거벗은 임금님》을 떠올려볼 수 있다.
순응 편향 conformity bias
따라쟁이의 함정 copycat trap
특권 편향 prestige bias
합의의 함정 consensus trap
<목차>
서문 _엘름 홀로우의 비밀
집단 착각에 빠진 현대인
침묵하는 다수는 누구인가
휘둘리는 당신을 위한 세네카의 조언
옮긴이의 글
1부 순응의 함정
1장 벌거벗은 임금들
사망률을 50퍼센트 줄일 보고타의 교통 광대
집단 지성은 왜 집단무지성으로 전락하는가
대중의 미망과 광기
이성적 판단을 방해하는 인간의 모방 본능
후광효과를 경계하라
확신과 착각은 종이 한 장 차이
“왜?”라는 질문의 힘
2장 소속감을 위한 거짓말
포기할 수 없는 소속감
아테네 최고 시민이 추방당한 이유
현대사회에서 벌어지는 도편추방
집단에 도전하거나, 제 발로 떠나거나
인지부조화가 불러온 잘못된 선택
흑백으로 변해버린 세계
이런 함정에 빠지지 않기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단순하지만 예방 효과까지 있는 방법이 있다. 정체성의 함정에 빠지고 싶지 않다면 자기 정체성의 복잡도를 높여야 한다. 말하자면, 마치 컬트 조직에 빠진 이들이 그렇듯 단 하나의 집단에 모든 것을 쏟아 붓지 말라는 것이다. 우리는 다양한 집단에 속함으로써 정체성의 함정에 빠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다. 즉 사회적 정체성의 포트폴리오를 건강하게 다각화하는 것이다. 이때 어떤 집단에 애착을 느끼고 소속되는지는 그리 중요하지 않다. 그저 나름의 긍정적 면모를 지니고 본인에게 끌리는 면이 있다면 그것으로 충분하다. 스포츠나 음악 팬클럽일 수도 있고, 도서 모임일 수도 있으며, 같이 경기를 보러 다니거나 공부하는 단체여도 좋다. 취미로 하는 밴드나 성가대 활동 역시 바람직하다. 주기적으로 내가 참여할 수 있고 나에게 기쁨을 주는 곳이라면 어디든 괜찮다.
...
이렇듯 다양한 정체성을 지니고 있으면 우리는 스스로의 자아상을 정교하게 재조정할 수 있다. 그렇게 우리는 우리의 자기존중감을 지키면서 사회적 비교를 통해 받게 되는 충격을 중화시켜 나가는 것이다.
3장 침묵의 소리
정치판의 판도를 바꾸는 집단 착각
불편하지만 안전한 침묵을 택하다
나사의 우주왕복선이 73초 만에 폭발한 이유
소셜 미디어가 갖는 권력의 맛
역병처럼 사회에 퍼지는 자기 검열의 덫
의심의 씨앗을 키워라
2부 사회적 딜레마
4장 작은 카멜레온
우리는 외톨이가 되는 것을 피하기 위해서라면 자기 눈으로 볼 수 있는 증거마저 믿지 않을 정도로 사회적인 동물인 것이다.
호모 사피엔스의 사회적 기술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
다른 사람의 욕망에 주목하다
비교하는 뇌
5장 사회적 규범을 따라 Chasing ghosts
저항할 수 없는 사회적 힘
두뇌는 예측가능한 규범을 갈구한다
캉디드의 오류
6장 오류의 왕국
생각의 함정
하얀 거짓말의 폐해
보고 싶은 정보만 보는 세상
알고리즘 속에서 살아가다
환상을 파는 장사꾼
3부 우리의 힘을 되찾아라
7장 일관성이라는 미덕 The virtue of congruence "조화로움"
산산조각 나버린 당신의 정체성
거짓말과 기만의 차이
인생의 만족도를 높이는 가장 간단한 방법
조화로운 사람이란 개방적이고 신실하며 타인을 수용하고 공감할 줄 알며 진실된 사람이라고 칼 로저스는 주장한다. 이러한 사람은 에이브러햄 매슬로우Abraham Maslow가 말한, 본인의 잠재력을 이 세상 속에서 온전히 실현해내는 자기실현self-actualization에 도달할 수 있다(매슬로우의 욕구위계 중에서 자기실현은 가장 높은 단계에 해당한다). 좀 더 쉽게 말하자면, 본인의 개인적 가치에 따라 조화롭게 살고 있는 사람은 인생에서 더 큰 만족감을 누린다. 더 행복해진다.
호모 이코노미쿠스다시보기
진실성sincerity과 진정성authenticity
동양의 성誠을 배우다
조화로운 삶이 주는 행복
8장 낯선 이를 향한 신뢰
가부장주의의 대가
제도를 향한 신뢰
불신 착각
양극화되는 세상
서로를 향한 신뢰의 힘
에크만은 이렇게 생각한다. 부모는 자식이 속여 넘기기 쉬운 상태에 있어야 한다. 자식을 믿어야 한다. 그럼으로써 신뢰를 되돌려 받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모든 아이들에게 있어서 “가장 중요한 것은 부모를 신뢰할 수 있느냐, 그런 기분인가 하는 것입니다. 아이가 받아들이든 거부하든, 부모는 언제나 아이를 돕고 지지할 준비가 되어 있어야죠.” 이러한 관계를 형성하면서 믿음직한 아이를 길러내려면 첫 단추부터 잘 끼워야 한다. 간단히 말해, 부모가 아이들을 먼저 믿어줘야 한다.
신뢰와 배반의 손실 교환
당신의 경영철학은 무엇인가
노르웨이의 감옥에서 미래를 보다
9장 거짓 위에 세워진 세상
힘없는 자들의 힘 - 벨벳혁명(1989년 체코슬로바키아)
규범을 깨부술 용기
긍정적인 일탈
집단 착각에 균열 내기
필요한 것은 그저 사회적 관계망의 바퀴를 달고 달려가는 강력한 진실뿐이었다. 당신 역시 경주용 자동차처럼 질주할 수 있다. 이 책에서 배운 기술들을 적용해보는 것에서부터 시작해볼 수 있을 것이다. 양심의 외침이 있을 때 침묵하는 것을 거부하자. “왜?” 혹은 “왜 안 돼?”라는 질문을 던짐으로써 민감하지만 중요한 대화의 물꼬를 트자. 스스로 전제하고 있는 것에 대해 경계하고, 본인의 전제가 틀렸을 가능성을 회피하려 들지 말자. 반드시 믿지 말아야 할 이유가 있는 게 아니라면 낯선 이들을 신뢰하도록 하자.
감사의 말
'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내 인생은 어떤 얼굴을 하고 있는가: 인생, 마음, 가치관을 읽는 관상 수업 (2) | 2025.04.01 |
---|---|
역노화 (The Science and Technology of Growing Young) (0) | 2025.02.04 |
사피엔스의 죽음 (0) | 2025.01.17 |
취향은 어떻게 계급이 되는가 (0) | 2025.01.06 |
아무도 상처받지 않는 대화법: 칭찬보다 더 효과적인 말투의 심리학 (0) | 2024.12.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