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책 이야기

세습 중산층 사회: 90년대생이 경험하는 불평등은 어떻게 다른가

by 건강을위한 2024. 11. 29.
반응형

2019년 조국 사태를 보면서 각계각층은 다른 감정을 느끼고 다른 생각을 했을 것이다.

 

많은 생각을 하게 하는 책이다...

이 책에서 말하는 '중산층'은 '중간 소득 집단'이 아니다.

'경제적으로 안정된 도시의 중간계급과 도시 및 농촌의 프티부르주아 중 경제적으로 안정된 집단 그리고 소득이 높은 상층 노동계급을 포함하는 집단'과 유사하거나 그보다 좀 더 상층의 집단이다. 

 

 

 

 

프롤로그∥세습 중산층의 세계에 오신 것을 환영합니다
10과 90의 사회│20대가 경험하는 다중의 불평등│2010년 이후 노동시장의 변화│글의 구성

각각의 20대들이 불평등 구조의 위계 서열에서 어느 위치에 자리하는지는 그들의 부모가 어떤 계층 또는 계급에 속해 있는지에 따라 달라진다. 취업하기 전까지 각 단계는 '능력 본위'로 포장되어 있지만 기실 그 '능력'은 부모가 어느 학교를 나왔고, 어떤 직업을 가졌으며, 월 소득은 얼마고, 어느 지역의 몇 평 아파트에 거주하는지에 강한 영향을 받는다.
20대가 취업과 함께 노동시장에 진입할 때 어떤 일자리를 얻느냐는 그의 미래 소독, 자산, 결혼 여부, 사회적 문화적 경험 등 생애주기 전반을 결정한다. 고임금의 안정된 일자리와 저임금의 불안정한 일자리 간의 격차가 큰 데다, 이직이나 전직 등을 통한 '질 좋은 일자리'로의 이동이 사실상 불가능한 한국 노동시작의 특성 때문이다.(...) 첫 일자리가 모든 것이나 마찬가지인 셈이다.
p.8

 

오늘날 20대가 경험하는 불평등의 본질은 부모 세대인 50대 중산층이 학력(정확히는 학벌)과 노동시장 지위를 바탕으로 그들의 자녀에게도 동일한 학력과 노동시장 지위를 물려주는 데 있다. 세습 중산층의 자녀가 '번듯한 일자리'를 독식하는 게 2019년의 20대가 1999년 또는 2009년의 20대와 다른 점이다. 이렇게 심화된 '격차 고정'은 결혼, 주택 등 생애주기에서의 기회에까지 강력한 영향력을 행사한다. 결혼과 주택 문제는 세습 중산층과 나머지 사람들 간의 격차 심화의 결과이면서 그와 동시에 격차가 더욱 별어지게 하는 요인이다.
p.13

 


1장 문제는 노동시장
한 번 외부자는 영원한 외부자│첫 일자리로 신분이 결정된다│첫 번째 관문은 명문대 진학│10퍼센트만이 번듯한 일자리를 갖는다│어느 때보다 극심한 경쟁을 경험하는 세대

2장 좁아진 중산층 진입의 문
달라진 취업시장│줄어든 대기업 일자리│내부자가 되기 위한 치열한 경쟁│여성의 약진│중숙련 일자리가 사라진다

3장 가려진 20대: 지방과 고졸
“공부 잘하면 치인트, 못하면 복학왕”│‘지방대생과 고졸자’라는 주변부│지방의 현실, 질 좋은 일자리가 없다│취업시장의 ‘시골’이 된 지방│탈산업화 쓰나미는 시작됐다│고졸은 우리 사회의 투명인간│미래가 없는 고졸 취업자│근로빈곤 상태에 놓인 청년들

지방대생과 고졸자는 근로빈곤층의 주공급원이다.
p.110

#근로빈곤층 = 일은 하지만 소득이 워낙 낮아 가난한 상황에서 벗어날 수 없는 사람

 

보고서는 "한 번 열악한 일자리에 발을 들여놓으면 좋은 일자리로 이행하기 어려운 '회전문 함정'이 존재한다"고 지적했다.
p.112

-- 보고서는 첨부

160328_청년근로빈곤_사례연구_최종보고서.pdf
2.54MB


4장 세습 중산층의 등장
20대의 불평등은 30대와 어떻게 다른가│다시 작동하는 ‘명문고’ 시스템│“중산층 자녀의 ‘인생’을 설계합니다”│중학교 때부터 드러나는 격차│노오오오오력도 계층 따라 간다│56년생 최순실의 자녀 vs. 65년생 조국의 자녀

5장 ‘정상가족’이라는 특권
결혼과 부동산에 나타난 계층 격차│남성 5명 중 한 명은 ‘노총각’으로 40대를 맞이한다│미혼을 강제당하는 하층 남성│여성, ‘완벽한 결혼’ vs. ‘비혼도 괜찮아’│부동산=세대+계층│세습 신분이 된 ‘서울 거주-2주택 보유 중산층’

6장 세습 중산층의 기원
60년대생은 무엇이 다른가│두 60년대생 이야기│대기업의 성장과 테크노크라트형 인력의 등장│‘승리의 역사’가 함께하는 60년대생의 근로 생애│성장의 또 다른 과실: 금융, IT와 대공장 생산직│학력-직업-경제적 지위의 결합

 

7장 계급의식의 형성
“나는 주인공 될 수 없는 영화 같았다”│G세대와 N포 세대의 공존│20대 남녀의 정치적 양극화? 그건 ‘세습 중산층’ 내부 이야기│불공정· 불평등에 대한 인식은 계급 문제

8장 ‘20대 남성 보수화’라는 신화
‘20대 남성’ 담론의 허실│2016 ~ 2017년 20대 ‘보수 이탈’ 분석│‘지지 정당 없음’의 등장│젠더 갈등과 SNS 배후의 ‘계급’│60대 건물주의 정당 vs. 50대 부장님의 정당

에필로그∥세습 중산층의 진화
세계 무대에서 펼쳐지는 명문대 졸업장 경쟁│고도성장의 끝, 세습 자본주의의 시작│저성장기에 더 치열해지는 ‘교육 군비 경쟁 ’│불가능한 프로젝트, 세대 간 양보│문제는 ‘60년대생’이 아니라 ‘세습 중산층’이다

(자본 수익률이 하락하면) 매월 꼬박꼬박 정해진 근로소득을 가져다주는 인적자본의 가치는 상대적으로 그만큼 더 올라갔다고 볼 수 있다. 열심히 저축을 해서 돈을 물려주는 것보다 교육을 통해 임금을 높여주는 게 부모 입장에서 더 나은 부의 상속 전략이 되는 셈이다.
p.279

 

요컨데 문제는 단순히 60년대생들이 90년대생을 착취한다거나, 입시제도가 부유한 중상위 계층에 유리하다거나 하는 데 있지 않다. 오히려 문제는 명문대를 나오고, 번듯한 직업을 가지고, 사회적 인정과 경우에 따라 명망까지 가진 80년대 학번-60년대생이 90년대생인 자신의 자녀들이 적합한 '능력'을 갖추도록 독려하고, 교육 제도를 잘 이용해 새로운 경제 여건과 시대 상황에 걸맞는 '인재'로 키워내는 데 성공하는 것 그 자체다.
교육에 기반한 능력 본위 사회를 표방하는 한국 사회에서, 세습 중산층의 자녀들은 명문대 학벌과 외국어 능력 및 교양, 잘 양육된 품성(좀 더 학문적으로 표현하면 비인지적 능력) 등을 가지고 노동시장에 진출해 1차 노동시장을 독식한다. 이러한 과정은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의 자녀처럼 몇몇 예외적인 경우를 제외한다면 꽤나 합법적이고, '룰'을 그대로 지킨 결과다. 절차의 불공정함이 아니라, 기회의 불평등 또는 능력 배양에서의 불평등이 문제인 것이다. 
p.290
728x90
반응형

'책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엘리트 세습 (The Meritocracy Trap)  (5) 2024.12.12
초가공식품 (Ultra-Precessed People)  (2) 2024.12.02
알레르기의 시대  (3) 2024.11.24
다이어트 사이언스 2022  (1) 2024.11.23
습관은 암도 멈추게 한다  (1) 2024.11.22

댓글